2. 가공 송전 선로
2.2 전선의 종류
2.2.1 구조에 의한 분류
전선의종류 (구조에 의한 분류)
(1) 단선
단선은 단면이 원형(때로는 각형, 평각형 등이 있다.)인 1가닥을 도체로 한 것으로서 송전선로에서는 소요 단면적이 작을 경우에 한해서 일부 쓰이고 있을 뿐이다. 우리나라에서는 단선의 굵기를 지름[mm]으로 나타내고 있는데 외국에서는 이것을 번호(AWG)로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.
(2) 연선
연선은 수가닥 내지 수십 가닥으로 된 가느다란 소선을 꼬아 하나의 등가적인 단면적을 갖는 단선으로 만든 전선을 말한다. 보통의 연선은 그림 2.1에서와 같이 1개의 소선을 중심으로 그 주위에 소선을 몇 층으로 꼬아서 만든 동심 연선으로 되고 있다.

이 그림에서 점선으로 각 소선의 중심을 통과하는 원을 피치 서클이라고 하는 데 이 수가 층수 n을 나타낸다. 따라서 그림의 연선은 2층으로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.
연선의 구성에 대해서는 소선의 지름이 모두 같을 경우 이하의 관계식이 성립한다.
1) 연선을 구성하는 소선의 총수 N과 소선의 층수 n
N = 3 n ( n + 1 ) d + 1 ...(2.1)
2) 연선의 바깥지름(包絡원의 지름) D와 소선의 지름 d
D = ( 2 n + 1 ) d ...(2.2)
3) 연선의 단면적 A와 소선의 단면적 a
A = N a [ ㎟ ] ...(2.3)
여기서 A를 계산 단면적이라 하는데 실제에는 계산값에 가까운 공칭 단면적으로 나타낸다.
(3) 중공 전선
200 [kV] 이상의 초고압 송전선에서는 코로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공전 용량과 관계없이 적어도 지름 25 [mm] 이상의 전선을 필요로 하게 된다. 이 경우 보통의 연선을 사용하면 아주 다량의 재료가 소요되기 때문에 중공선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. 그림 2.2는 이 중공 전선의 일례를 보인 것이다.

'송배전공학_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1. 전선의 종류 (조합에 의한 분류) (0) | 2023.01.03 |
---|---|
10. 전선의 종류 (재질에 의한 분류) (1) | 2023.01.02 |
8. 가공 송전선로에 사용되는 전선의 구비조건 (0) | 2023.01.02 |
7. 표준 전압 및 공칭 전압, 경제적인 전압값의 선정 (0) | 2023.01.02 |
6. 송전 전압과 송전 전력과의 관계 (0) | 2023.01.02 |